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새로 맞춘 안경이 어지럽다면? [초점이 안맞는 안경 판별하기]

by JDNJ 2025. 7. 1.
반응형

안경을 새로 맞추면 약간 어지러운 경우가 있습니다. 새 안경이니 적응되면 괜찮다는 안경사들의 말을 정말 믿어도 되는 것일까요? 실제로 보면 초점이 안맞게 만들어져서 어지러운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.

 

새로 맞춘 안경이 어지럽다면?

새로 맞춘 안경을 썼을 때 어지러움이 느껴지는데,

새 안경이니 적응되면 괜찮다는

안경사들의 말을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.

그런데 이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.

 

새 안경이 어지러운 이유는 다양한데,

물론 도수가 조금 달라지고, 테도 바뀌고,

정말 단순히 새 안경, 새 도수에

적응이 안 돼서 그럴수도 있습니다.

 

그런데 문제는 그 원인이

다른 이유일 때가 더 많다는 것입니다.

그중 한 가지 원인이

바로 초점이 안 맞게 만들어진 경우입니다.

 

이렇게 초점이 맞지 않는 안경을

쓰시는 경우는 굉장히 빈번한데,

이 포스팅을 통해 내 안경의 초점이 잘 맞는지 확인하시고,

만약 맞지 않다면 쓰지 않으시는 것을 권합니다.

 

초점이 맞지 않는 안경을 계속 착용하면

프리즘 영향으로 만성적인 눈피로가 생기고

심하면 사위까지 유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 

초점이 맞지 않는 안경 판별하기

모든 렌즈는 한 가운데에

'광학중심점'이라는 초점이 있습니다. 

정 가운데 초점 부분에서는 물체가 정확히 보이고,

가장자리로 갈수록 사물이 왜곡되어 보입니다.

렌즈-광학중심점
광학중심점

 

이것은 렌즈의 문제가 아니라

모든 안경렌즈의 특성이자 단점이기도 합니다. 

그래서 안경을 맞출 때 눈동자의 위치와

안경렌즈의 초점을 정확히 맞춰서 

그 위치 그대로 깎아서 테에 끼워야 합니다.

 

만약 렌즈의 초점이 눈동자와 일치하지 않는다면

사물도 약간씩 왜곡되고, 어지럼증을 유발합니다.

 

문제는 이 초점이 잘 맞게 되었는지, 그렇지 않은지는

다 만들어진 안경을 육안으로 봐서는

절대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.

 

안경사들은 안경 도수와 초점 위치를 보는 기계로

초점 위치를 알 수 있는데,

일반인 분들은 절대 알 수 없습니다.

 

일반인 분들이 내 안경의 초점이 맞는지
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안경을 맞출 때 초점 체크를 제대로 했는가?

안경을 맞출 때 초점 체크를

제대로 했는지 생각해보시면 됩니다.

 

실제로 안경원에서 정석대로 초점을 측정해서

제대로 맞춰주는 안경원이 정말 흔치 않습니다.

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초점을 맞지 않는 안경을

쓰고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입니다.

 

내가 고른 안경테를 쓴 상태에서 

정면으로 마주보고 눈 초점 위치를 체크했는지를

떠올려 보시기 바랍니다.

안경-초점
초점

위와 같은 방식으로 안경테의 눈 초점 위치를

정확히 체크하는 과정이 필수입니다.

 

그리고 이 초점 체크에 앞서 필수적인 과정이 있는데,

바로 안경 피팅입니다.

안경테를 얼굴에 맞게 완벽히 맞추고 난 후에

초점 체크를 해야 합니다.

 

안경테를 고르고 나서 그 테를 얼굴에 맞게 피팅해야

눈동자 위치도 정확히 잡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 

정리하자면,

1) 안경테 & 렌즈 고르기

2) 안경테를 얼굴에 맞게 피팅, 위치를 고정

3) 그 상태에서 눈 초점 위치를 측정

4) 그 초점에 맞게 렌즈를 깎아 넣기

 

이 네 가지 과정을 모두 거쳐야 

내 초점에 맞는 안경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.

 

*같이 읽으면 좋은 글

 

다초점 안경을 맞추기 좋은 시기는? : 노안과 다초점 안경

노안 때문에 다초점 안경을 찾아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. 그런데 그중에 다초점 안경이 어지럽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고민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. 오늘은 노안으로 인해 다초점 안경을 고려하

frehop.com

 

 

안경 잘 고르는 방법 : 안경 구매하기 전 꼭 알아야 할 사실

안경을 사용하시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안경을 구매할 때 디자인적인 요소를 많이 고려하곤 합니다. 하지만 안 좋은 시력을 보완하는 필수 도구인만큼 잘 어울리면서도 기능적으로도 준수한 안

hoppingg.tistory.com

 

반응형

댓글